자궁암 | 난소암의 병원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BRM 작성일13-02-22 20:21 조회3,747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수술
난소암의 수술방법과 수술범위 및 수술 가능성은 암의 진행상태(병기), 암세포의 유형,
암세포의 분화도, 주위조직과의 유착, 정도, 복수의 유무, 암의 한쪽난소 국한 또는 양측
난소 침법 여부,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난소 및 자궁의 절제
난소암 초기일지라도 반대측 난소를 보존해야 할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양쪽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자궁 장막과 난관도 호발전이 부위이므로
복식 전 자궁 절제술 및 양측 난소난관 절제술을 동시에 시행합니다.
차후 임신을 요망할 경우 예외적으로 병소가 한쪽 난소에 국한되고 피막이 파열되지 않고
주위조직에 유착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한쪽 난소난관 절제술의 시행을 고려 해봅니다.
골반강액 및 복강액내 세포검사
골반강과 복강 내에 고여 있는 액체를 검사하여 암세포의 존재 유무를 확인 합니다.
대망 절제
대망이란 위에 메달려 있으면서 대소장을 덮고 있는 커다란 그물과 같은
지방조직입니다. 대망은 난소암이 가장 잘 전이하는 조직인데, 절제한 대망을
수술 후에 검사했을 때 전이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후박막림프절곽청술
전이가 의심되는 림프절을 채취하여 검사한 후 전이가 확인되면 림프절과 림프관을
절제하는 것을 림프절곽청이라고 하며 후복막림프절에는 골반 림프절과 대동맥 주변
림프절 등이 있으며 대동맥 주위 림프절을 채취하여 전이가 확인되는 경우 대동맥
주위 림프절을 곽청하며 골반림프절은 조직검사 없이 바로 곽청하여 전이 유무를
조사합니다.
전이 부위 절제술
복강 내 전이된 경우가 많은 진행된 난소암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술이 매우
복잡해지며 수술 범위가 커집니다. 전이 상태에 따라서 난소와 자궁, 복막, 대장, 소장,
방광, 요관, 복강 내 림프절, 비장, 횡경막을 적출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난소암의 수술방법과 수술범위 및 수술 가능성은 암의 진행상태(병기), 암세포의 유형,
암세포의 분화도, 주위조직과의 유착, 정도, 복수의 유무, 암의 한쪽난소 국한 또는 양측
난소 침법 여부, 환자의 연령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난소 및 자궁의 절제
난소암 초기일지라도 반대측 난소를 보존해야 할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양쪽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자궁 장막과 난관도 호발전이 부위이므로
복식 전 자궁 절제술 및 양측 난소난관 절제술을 동시에 시행합니다.
차후 임신을 요망할 경우 예외적으로 병소가 한쪽 난소에 국한되고 피막이 파열되지 않고
주위조직에 유착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한쪽 난소난관 절제술의 시행을 고려 해봅니다.
골반강액 및 복강액내 세포검사
골반강과 복강 내에 고여 있는 액체를 검사하여 암세포의 존재 유무를 확인 합니다.
대망 절제
대망이란 위에 메달려 있으면서 대소장을 덮고 있는 커다란 그물과 같은
지방조직입니다. 대망은 난소암이 가장 잘 전이하는 조직인데, 절제한 대망을
수술 후에 검사했을 때 전이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후박막림프절곽청술
전이가 의심되는 림프절을 채취하여 검사한 후 전이가 확인되면 림프절과 림프관을
절제하는 것을 림프절곽청이라고 하며 후복막림프절에는 골반 림프절과 대동맥 주변
림프절 등이 있으며 대동맥 주위 림프절을 채취하여 전이가 확인되는 경우 대동맥
주위 림프절을 곽청하며 골반림프절은 조직검사 없이 바로 곽청하여 전이 유무를
조사합니다.
전이 부위 절제술
복강 내 전이된 경우가 많은 진행된 난소암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술이 매우
복잡해지며 수술 범위가 커집니다. 전이 상태에 따라서 난소와 자궁, 복막, 대장, 소장,
방광, 요관, 복강 내 림프절, 비장, 횡경막을 적출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