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예일1 작성일06-09-12 17:33 조회2,88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검은콩(흑대두)은 껍질이 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중국원산의 세계각지에서 재배되는 콩과의 1년초 식물이다.
중국의 한방의 고전인 본초강목" 이나 우리나라 "동의보감"
에 "백약의 독을 푼다" 라고 기록되어 있듯이 신장에 작용하여
부종을 없애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임산부 부종에
잉어와 함께 푹 달여 그 국물을 먹게 했다.
검은콩의 검은색은 안토시아닌 성분으로 철분과 함께 끊이면
그 검은색이 더욱 선명해진다.
검은콩의 성분조성은 우수하여 아미노산 중에서도 부족되기 쉬운
리진 및 트립토판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신진대사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스파라긴산 및 조미성분인 글루타민산 이외에도 우레아제
를 비롯한 각종 효소도 포함하고 있다.
그중 라이신과 아스파라긴산 등은 피부를 아름답게 가꿔주는 효과가 있다.
또, 지방분인 리놀산 및 리노레인산, 레시틴은 콜레스테롤을 내리고 사포닌은
혈중 지방의 산화를 방지하므로, 동맥경화증 및 고혈압 등 생활습관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사포닌에는 해열작용 및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한방에서는 부종 및 각기, 근육의
경련, 화농 등에 이용해왔다.
한방에서는 또, 검은콩 그 자체에 이뇨작용 및 해독작용이 있다고 하여, 신장
기능을 높이는 데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신장이 약한 사람에게는 섭취를 권장하는
식품이다.
검은콩을 달인 즙은 쉰 목에 효과적으로 목소리를 좋게 하기 때문에 음악가 등이
검은콩 달인 물을 음용하는 것도 잘알려진 사실이다. 또 검은 껍질은 자양 작용이
있어 냉한 현기증 두통 등에 이용된다.
검은콩과 그 싹을 틔운 콩나물 등은 아스파라긴산, 비타민C가 풍부하여 한방에서는
여름감기, 각기, 등의 발열, 설사, 가슴답답함, 몸의 무거운 등의 증상에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몸에 좋은 검은콩은 물로 씻을 때 너무 열심히 씻는 것은 좋지 않다.
물로 씻을 때 혈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유효성분이
물에 녹아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중요성분을 잃지 않도록 가볍게 씻도록 한다.
기능식품신문 2006.9.11월요일
중국원산의 세계각지에서 재배되는 콩과의 1년초 식물이다.
중국의 한방의 고전인 본초강목" 이나 우리나라 "동의보감"
에 "백약의 독을 푼다" 라고 기록되어 있듯이 신장에 작용하여
부종을 없애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임산부 부종에
잉어와 함께 푹 달여 그 국물을 먹게 했다.
검은콩의 검은색은 안토시아닌 성분으로 철분과 함께 끊이면
그 검은색이 더욱 선명해진다.
검은콩의 성분조성은 우수하여 아미노산 중에서도 부족되기 쉬운
리진 및 트립토판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신진대사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스파라긴산 및 조미성분인 글루타민산 이외에도 우레아제
를 비롯한 각종 효소도 포함하고 있다.
그중 라이신과 아스파라긴산 등은 피부를 아름답게 가꿔주는 효과가 있다.
또, 지방분인 리놀산 및 리노레인산, 레시틴은 콜레스테롤을 내리고 사포닌은
혈중 지방의 산화를 방지하므로, 동맥경화증 및 고혈압 등 생활습관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사포닌에는 해열작용 및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한방에서는 부종 및 각기, 근육의
경련, 화농 등에 이용해왔다.
한방에서는 또, 검은콩 그 자체에 이뇨작용 및 해독작용이 있다고 하여, 신장
기능을 높이는 데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신장이 약한 사람에게는 섭취를 권장하는
식품이다.
검은콩을 달인 즙은 쉰 목에 효과적으로 목소리를 좋게 하기 때문에 음악가 등이
검은콩 달인 물을 음용하는 것도 잘알려진 사실이다. 또 검은 껍질은 자양 작용이
있어 냉한 현기증 두통 등에 이용된다.
검은콩과 그 싹을 틔운 콩나물 등은 아스파라긴산, 비타민C가 풍부하여 한방에서는
여름감기, 각기, 등의 발열, 설사, 가슴답답함, 몸의 무거운 등의 증상에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몸에 좋은 검은콩은 물로 씻을 때 너무 열심히 씻는 것은 좋지 않다.
물로 씻을 때 혈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유효성분이
물에 녹아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중요성분을 잃지 않도록 가볍게 씻도록 한다.
기능식품신문 2006.9.11월요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